한국국정관리학회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학회 자료실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Studies

 

 

 

 

 

 

 

검색결과 년도: (전체년도), 자료구분: (학회보), 제목: (모든제목), 저자: (모든저자), 내용: (모든내용)
검색결과에 만족하지 않으십니까?
· 자료구분 현대사회와 행정
· 년도 2025년
· 자료명 2025, 35(1), 수정된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기후변화 정책변동의 실증적 접근: 11개 광역지자체의 온실가스 변화량을 중심으로
· 저자 이원석, 박형준
· 첨부파일 04_이원석_박형준.pdf (파일크기: 1.7M, 다운로드 수 : 10)
· 내용 등록된 내용이 없습니다.


현대사회와 행정 ISSN 1229-389X (Print), ISSN 2713-6302 (Online)
등록자료 641건
번호 자료구분 년도 자료명 첨부 조회
641 학회보 2025년 2025, 35(1), 육군 병사 복무기간 조정의 역사적 경로와 결정 요인: 환경적・제도적 맥락, 행위자 요인의 상호작용 분석 54
640 학회보 2025년 2025, 35(1), 수정된 다중흐름모형을 활용한 기후변화 정책변동의 실증적 접근: 11개 광역지자체의 온실가스 변화량을 중심으로 71
639 학회보 2025년 2025, 35(1), 청년정책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청년 하위집단과 정책담당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63
638 학회보 2025년 2025, 35(1), 정부신뢰의 영향요인: 종단적 접근 57
637 학회보 2025년 2025, 35(1), 성과관리에 대한 성과관리: 국무조정실 성과관리 자체평가・운영실태 점검체계 개선방안 60
636 학회보 2024년 2024, 34(4), 머신러닝을 활용한 한국인의 행복요인 분석: SNS상의 소외감과 신뢰를 중심으로 66
635 학회보 2024년 2024, 34(4),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전략 연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비교 분석 논의를 중심으로 47
634 학회보 2024년 2024, 34(4), 관료제 권력 측정: 문재인 정부의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61
633 학회보 2024년 2024, 34(4), 사회적 위험에 대한 불안 유형: 비일상적 위험과 일상적 위험을 중심으로 53
632 학회보 2024년 2024, 34(4), How did e-petition systems influence the dynamics of agenda-setting?: A case study of Yemeni refugee crisis in South Korea 43
631 학회보 2024년 2024, 34(3), 국내 약물법원(drug court) 도입의 경제성 효과 분석 방법론 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487
630 학회보 2024년 2024, 34(3), 조직지원과 정서적몰입 관계의 매개경로 분석: 재난안전종사자의 역할모호성, 보상부적절, 직장스트레스를 중심으로 449
629 학회보 2024년 2024, 34(3), 공공기관의 민주성과 전문성 제고를 위한 공공기관장 인사제도 개편방안에 대한 소고 354
628 학회보 2024년 2024, 34(3),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의 변화과정 분석: 신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428
627 학회보 2024년 2024, 34(3), 공공가치의 융합적 전환과 사회문제 해결:가치융합적 태도와 시민참여의 확대 397
 1  2  3  4  5  6  7  8  9  10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 수집행위 등 금지)
  1.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된다.
  2. 누구든지 제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유통하여서는 아니된다.
  3. 누구든지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닫기